카테고리 없음

AI시대 예술가들의 사유, Hyper Eyes : See the future 전시

n-view 2024. 6. 12. 11:35

#Art, Technology & AI

예술의 정의와 역사적 의미는 시대와 문화에 따라 변화해왔다. 고대 그리스 시대에는 미술을 테크네(Technē)’로 불렀다. 이것은 기술(technique)과 기교(technicity)를 의미하는 테크닉(technique)의 어원으로, 테크네는 인간이 기술적으로 무언가를 만드는 행위 전체를 포함하며, 제작 과정 전반을 의미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었다. 이 시기의 예술은 실용성과 미적 가치가 결합된 형태로, 물리적 객체의 제작뿐만 아니라 건축, 연극, 문학 등 다양한 창조적 활동을 포괄했다. 이후 로마인들이 그리스어 테크네를 라틴어 아르스(ars)’로 옮겼고, 현대의 ‘art’는 여기서 유래되었다. 태초에 예술이 기술과 불가분의 관계였음을 알 수 있다

중세시대에는 신에 대한 찬미와 교리의 전달 수단으로 예술이 정의되었고, 이후, 인간의 주관적 감정과 상상력을 중시하는 르네상스를 시작으로 낭만주의,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을 지나 현대에 들어서면서 그 의미가 포괄적이고 다양해졌다. 예술은 미술, 음악, 문학, 무용 등 전통적인 형태뿐만 아니라 영화, 사진, 디지털 아트 등 새로운 매체를 통한 표현까지도 예술의 범위에 포함되었다. 이제 오늘날의 예술은 기술, 매체, 장르간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으며, 사회적 참여와 실천, 작품과 상호작용하는 경험을 중시하는 경

향이 나타나고 있다.

최근 빠르게 성장하는 AI기술은 어느새 예술의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제 생성형 AI를 활용해 소설을 쓰고, 작곡을 하고, 그림을 그리며, 영상을 만드는 시대가 되었다. 인간이 오랜 세월동안 현실세계를 모방하여 재현해낸 방대한 양의 예술 데이터를 인공신경망을 통해서 빠르게 학습한 기계는 앞으로 이 시대의 예술의 모습을 어떤 형태로 바꾸게 될까? 이번 글에서는 지난 1년간 예술가의 똑똑한 조수로 AI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매체를 향한 실험으로 다양한 주제를 탐구한 작가들의 전시, ‘HYPER EYES: See the future’를 소개한다. 필자는 이 전시의 기획자이자 작가로서 참여했으며, 작가들의 작품노트를 소개한다.

 

 

<체멸, 김백준>, <흘러들다 (FLOW IN), 안민주>, <Lego Universe, 김범준>, <The Last Memory, 박결>

 

# HYPER EYES : See the future

 

HYPER EYES: See the future @Design by 김종민

Hyper Eyes: See the Future 전시는 홍익대학교 AI·실감미디어콘텐츠학과와 VR·AR콘텐츠전공의 연구자 및 작가들이 지난 1년 동안 AI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다양한 작품연구의 결과물들이 모여 그룹전시로 이어졌다. 혁신기술과 예술적 감성의 조화를 도모하며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했던 작가들의 협업과 고민의 흔적이 고스란히 담겨있는 전시이다.

 22명의 작가들의 30개의 작품이 출품되었으며, 홍익대학교 MR Media Lab의 지원으로 생성형 AI기술, 상호작용이 가능한 가상환경, 가상조형물, 데이터베이스페인팅아트 등의 장르를 융합하는 실험 작품을 포함해 이미지, 영상, 사운드 등 다양한 매체 형식으로 표현되었다

# 예술과 기술 사이

Hyper Eyes: See the Future 전시는 작품이 구현되는 형식과 환경에 따라서 총 3개의 섹션으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는 가상환경에서 관람객이 조이스틱으로 공간을 자유롭게 탐색하여 작품을 경험하는 형태이다. 두 번째는 프로젝션 된 이미지 작품 형태이며, 마지막으로 디지털트윈과 이머시브 사운드 시스템으로 구축된 몰입형 3면 스크린 공간에 프로젝션 되는 영상 작품의 구성이다. 이 세 가지 섹션에 상영된 이미지 및 영상 작품의 제작에 작가들은 생성형 AI를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하였다

<상자들(Boxes), 박주현>
<A cup of coffee>,권민 @MR Media Lab

▶ 가상과 현실 사이 – 공간을 탐색하며 작품을 경험한다.

언리얼 엔진을 베이스로 구현된 가상환경에는 총 5개의 작품이 전시되어 있다. 관람객은 조이스틱을 활용해 자유롭게 공간을 이동하고 탐색할 수 있으며, 작품별로 다양한 인터랙션을 방식을 통해 작품을 재생시키며 경험할 수 있다. 가상조형작품인 <상자들(Boxes), 박주현>은 수직과 수평으로 짜여 진 상자의 배열을 통해서 서로 다르지만 상호연결 되어있는 인간의 사회적 관계를 상징적으로 투영한다. 각 상자들의 의미를 해석한 영상작품은 3면 스크린 공간을 통해서 따로 감상할 수 있다. AI의 스타일전이 기술을 활용한 <두 도시, 백재열>는 파리와 밀라노의 대표적인 두 장소가 혼합되는 과정을 담았다. <인공감정: 희로애락(Artificial Emotion: JASP), 박선주>은 인간의 기본적인 감정인 기쁨, 분노, 슬픔, 즐거움을 AI를 활용하여 해석하고 시각화한 영상작품으로, 프롬프트에 따라 인종, 성별, 감정의 스테레오타입이 어떻게 생성되는지를 실험하고, 인간이 가진 고유감각과 인간성의 본질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Infinite tales of AI, 백승범> 생성형 AI의 변형과 확장 능력이 끝없는 스토리의 원천이 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시작으로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확장되는 이미지를 통해 무한한 상상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Posed Me, 김종민> Database Painting 장르의 작품으로 직접 찍거나 목격한 사진을 통해 바라본 세상의 모습을 하나의 사진 작품의 형태로 구성하고 그 안에서 두 개의 다른 이미지로 병치하여 세상을 바라보는 주관적인 감정과 의미를 은유와 상징을 통해 표현했다.  

 

<상자들(Boxes), 박주현>, <두 도시, 백재열>, <Artificial Emotion: JASP, 박선주> <Infinite tales of AI, 백승범>, <Posed Me, 김종민>

 

▶현재와 미래 사이, Transcendence of Dimensions

디지털트윈과 이머시브 사운드 시스템으로 구축된 몰입형 3면 스크린 공간에는 생성AI기술로 예술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시각화하고, 커뮤니케이션의 변화, 시공간을 초월한 개념적 이미지를 탐구하는 다양한 영상작품들이 순환되며 상영되고 있다

<Beyond Canvas, 심현준>은 끊임없이 진화하는 예술의 패러다임을 디지털캔버스에 담은 작품으로, 르네상스에서 팝아트에 이르는 뛰어난 예술가의 작품들을 생성형 AI를 이용하여 시간과 스타일을 초월한 새로운 예술 작품으로 표현하였다. <반영된 영역, 김지영>은 이분법적인 생각이 가득한 도시에서 또 다른 차원의 공간을 찾아가고, 원환적 사고로 초월주의 사상을 갖고 있는 사람들을 만나게 되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나는 내용을 통해서 새로운 공간이란, 진보된 과학기술의 부정적인 형태가 아닌 다양한 생각을 만들 수 있는 긍정의 매체임을 전달한다. <Database Painting : The Remnants, 이진>은 권력의 공포에 마주하는 사람들의 모습들과 그런 사회가 사람들에게 있어 얼마나 절망적인지를 보여주는 독일 표현주의 작품들(War Generation)의 이미지 데이터를 재조합하여 새로운 시선으로 구성함으로써 현 시점에서 우리가 권력과 공포의 관계를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만든다. < (WAY / ), 허화영>은 빠른 속도로 발전하는 AI기술로 인한 정보 불평등을 주제를 인류가 변화하는 여정에 담았고, <저 넘어에, 김윤아>는 미지의 가상공간을 여행을 위해서 지금 현실과는 다른 시각적 구성으로 만들어진 세계를 탐구하고, <크리스탈 파도 / 상대적공간, 조우석>은 가상현실 공간에서 다양한 빛을 반사하는 아름다운 조형물로 재인식 될 수 있는 크리스탈 파도와 인식하는 주체에 따라 공간이 다르게 인식 될 수 있는 공간을 생성 AI기술을 활용하여 제작하였다. <A Cut of Coffee, 권민>는 지구와 우주를 교차하면 반복되는 시간과 공간의 확장을 끊임없이 변형되는 생성 AI 이미지로 표현했고, <차원의 초월, 김민호>은 현대 과학의 미지인 블랙홀, 웜홀, 화이트홀에 대한 호기심과 예술적 탐험을 결합한 창의적이고 흥미로운 이야기로, 시공간을 초월하는 순간을 주요 주제로 다루고 있다.

 

<Beyond Canvas, 심현준>, <반영된 영역, 김지영>, <Database Painting : The Remnants, 이진>, <길 (WAY / 道), 허화영>, <저 넘어에, 김윤아>, <크리스탈 파도 / 상대적공간, 조우석>, <A Cut of Coffee, 권민>, <차원의 초월, 김민호>

 

▶ 사람과 공간 사이, Hyperspacial Existence

생성 AI를 활용하여 사람과 공간의 관계를 초월적이고 확장된 차원에서 바라보고, 초공간적 경험을 강조한 영상작품들도 3면 스크린 공간을 통해 상영되고 있으며,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생성 AI 이미지들도 함께 전시되고 있다.

<차원의 초월, 임수현> 벽 너머에는 어떤 세상이 존재할까?’라는 질문으로 출발하여, 깊은 착시를 통해 차원의 문을 열고, 우리의 현실을 초월한 환상적인 세계를 드러내며 인류가 생성해낸 AI가 우리에게 어떤 세상을 선물 하게 될지 실험한다. <환생의 고리(Link of reincarnation), 박진호> 죽음은 새로운 시작으로 연결된다. 무엇 하나 기억하지 못하지만, 삶의 강렬했던 기억은 다음 생애에 반영되어 무한히 반복된다. 언젠가 꽃을 피울 그날까지..’라는 스토리를 바탕으로 삶의 순환을 생성AI의 다양한 이미지로 표현하였고, <Vice-versa, 그 너머, 정새별> 수많은 사회적 교류와 부의 창출이 이루어지는 사이버 스페이스가 진짜 사회라면, 현대의 진짜 사회는 모니터 그 너머에 있지 않을까하는 전제에서 출발하여 언제나 모니터 안을 지켜보고 있는 현대사회, AI가 만들어 낸 가상의 인간들이 반대로 모니터 너머 우리를 지켜보게 함으로써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을 뒤집어서 표현한다.

 

<차원의 초월, 임수현>, <환생의 고리, 박진호>,

 

<체멸(體滅), 김백준> 당신은 실존감을 어떻게 느끼는가? 혹은 자아에 대한 정의는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가?”라는 니콜라스 보스트롬(Niklas Boström) 우리는 가상현실에 살고 있다.”라는 명제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이는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구조주의 등 포스트 이데올로기의 이념적 해체를 암시할 수도 있다고 작가는 말한다. 파괴와 탄생을 동시에 아우르는 찰나의 순간은 무한 반복되며, 자크 라캉(Jacques Lacan)이 프로이트 이론을 소쉬르의 언어학을 활용해 재해석하는 과정을 모티브 하여 작가의 상상력으로 표현하였다. <흘러들다 (FLOW IN), 안민주> AI로 생성된 이미지 위에 작가의 시선을 담은 디지털 페인팅을 혼합한 작품이다. <Lego Universe, 김범준>는 실제 여행 사진과 AI 이미지 생성 기술을 결합한 프로젝트로 여행의 순간과 감정을 레고로 독특하게 재해석하고, 이 장난감을 이용해 사진만으로는 표현하기 힘든 현장의 분위기를 표현하였다. <The Last Memory, 박결>는 인류의 마지막 도시, 아르카디아. 평화의 가면 뒤 숨겨진 진실을 발견한 두 젊은이, 에바와 지훈. 기억을 조작하는 AI에 맞서 그들이 선택한 것은 자유와 진실을 담은 영화 트레일러를 생성AI로 만든 영상, 사운드를 활용하여 완성되었다.

<체멸, 김백준>, <흘러들다 (FLOW IN), 안민주>

<물고기(fish), 김예진> 어류라는 범주는 사실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에서 착안하여 오랜 시간 쉽게 볼 수 있었지만 아직도 인간에게 규정되지 않은 상태인 물고기가 초월적인 존재처럼 느껴졌다는 작가의 감각을 표현한 영상이다. <Database Painting : Cage Phobia, 김광섭>은 앵무새가 수십 년 동안 새장에 갇혀 매일매일 같은 하루를 반복하면서 느낄 수 있는 정신적 고통을 앵무새의 시선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오랜 시간 동안 앵무새를 사육한 경험이 있는 작가가 앵무새의 사육 과정을 지켜보며 제도권에 갇혀있는 인간들의 느낌과 그들의 스트레스를 연상하게 되었고 마침내 새장 안에 갇힌 앵무새의 정신적 고통과 앵무새의 시선을 진단 하고자 케이지 포비아를 작품으로 완성하였다. <Database Painting : Utopian Hashtag, 변희은>은 대상 또는 나에 대한 수수방관에서 비롯한 관조적인 시선 그리고 유심히 관찰하고 지켜보는 관음증적 시선사이를 넘나드는 무의식적 경계선의 작업으로, 창 너머로 누군가의 일상을 바라보며 출발되어 아파트 사각의 창틀을 통해 보이는 사람들의 각양각색 평범한 일상의 모습들은 다양한 서사가 있으며 그들은 망가진 사회를 무감각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처럼 보였다고 한다. 안과 밖의 의미를 해체하고 왜곡하여 망가진 도시의 모습을 숨기고 있는 사회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영상으로 표현하였다

 

<fish, 김예진>, <Database Painting : Cage Phobia, 김광섭>, <Database Painting : Utopian Hashtag, 변희은>

 

# HYPER EYES : See the future, 가상전시

<홍익 AI Museum> @MR Media Lab

이번 전시는 2024 228일에서 3 27일까지 홍익대학교 홍익 AI Museum’ NETstarium 메타버스 갤러리에서 동시에 진행되었으며, 올해 상반기 동안 NETstarium의 웹 환경을 통해 퀄리티 높은 가상공간 전시로 이어질 예정이다.

 

@NETstarium

# HYPER EYES : See the future, 가상전시 URL
https://gallery.netstarium.com/HGA/mai